시사

파키스탄과 탈레반, "형제"에서 적으로? 긴장 고조되는 국경 분쟁

트이사 2025. 2. 11. 10:52
반응형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의 관계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습니다. 한때 "형제 국가" 를 자처했던 두 나라 사이에서 국경 충돌과 테러가 급증하며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데요.

지난 1월, 아심 무니르(Asim Munir) 파키스탄 육군참모총장은 이렇게 토로했습니다.
🗣️ "그들은 우리 말을 듣지 않는다."

파키스탄은 탈레반 정부에 "국경 너머에서 테러가 유입되지 않도록 도와달라" 고 요청했지만, 돌아온 것은 협력 대신 무력 충돌이었습니다.


🏴‍☠️ 테러 증가: 파키스탄 내부의 TTP 공격

🚨 2024년 파키스탄 내 테러 공격: 521건 (전년 대비 70% 증가)
📍 총 사망·부상자 수: 약 2,000명

특히 "파키스탄 탈레반(TTP, Tehreek-e-Taliban Pakistan)" 의 공격이 급증했는데요.
🔹 TTP는 2024년 한 해에만 300건 이상의 공격을 감행
🔹 2018년 KPK(Khyber Pakhtunkhwa) 지방과 인접 부족 지역이 파키스탄에 병합된 것에 반대하며 군을 주요 타겟으로 공격

💡 파키스탄 정부는 현재 TTP가 약 10,000명의 무장 병력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파키스탄-탈레반 관계, 왜 이렇게 악화됐나?

1️⃣ 파키스탄의 '오판'
파키스탄은 미국이 2021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한 후, 탈레반 정권이 친(親)파키스탄 노선을 걸을 것이라 기대했어요.
하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

2️⃣ 탈레반 내부의 균열
파키스탄은 탈레반 내 하카니 네트워크(Haqqani Network) 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TTP는 탈레반 최고 지도자 "하이바툴라 아쿤드자다(Haibatullah Akhundzada)" 에 충성을 맹세하고 있습니다.

즉, 파키스탄이 하카니 네트워크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도, TTP를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죠.

3️⃣ 국경 지대에서의 무력 충돌
📍 2023년 12월 - TTP가 파키스탄 국경 초소를 공격해 파키스탄 군인 16명 사망
📍 파키스탄군의 보복 공격 - TTP의 아프간 내 거점을 폭격
📍 탈레반의 반격 - 파키스탄군을 향해 무력 대응 선언

💬 탈레반: "TTP는 우리의 손님이다. 공격을 중단하라."


🌍 외교적 고립? 파키스탄이 원하는 것 vs 탈레반의 행보

파키스탄은 탈레반을 압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단행했어요.
2023년 9월부터 아프간 난민 81만 5천 명 강제 추방
아프가니스탄과의 무역 감소

하지만, 탈레반은 오히려 다른 국가들과 외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2024년 1월 - 탈레반, 이란 외무장관과 정상회담
✔️ 2024년 1월 - 탈레반, UAE에서 인도 외교 관계자와 회담

이처럼 파키스탄의 외교적 압박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요.


🚨 앞으로 어떻게 될까?

🔹 파키스탄 내부 갈등 심화 가능성

  • 파키스탄 정부는 TTP와 협상 불가 방침
  • 하지만 파키스탄 테흐리크에 인사프(PTI, Imran Khan의 정당) 는 탈레반과 대화 시도

🔹 국경 지대에서의 군사 충돌 가능성

  • 파키스탄은 추가 보복 공격 가능성
  • 탈레반은 TTP를 보호하겠다고 선언

🔹 파키스탄-탈레반 관계 더욱 악화될 수도

  • 과거 "형제 국가" 에서 이제는 "위험한 이웃" 으로 변모

💬 파키스탄 고위 안보 관계자: "우리는 탈레반이 국가로서 행동하길 바란다. 하지만 변한 것은 없다."

👉 과연 파키스탄과 탈레반의 관계는 어디로 향할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