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국 바이오테크, 키트루다 뛰어넘는 신약 개발로 세계를 놀라게 하다

트이사 2025. 2. 17. 15:33
반응형

 

 

📰 핵심 요약

✔️ 중국 Akeso, 비소세포폐암 신약으로 머크 ‘키트루다’ 대비 생존기간 2배 개선
✔️ 중국, 미국 다음으로 신약 개발 2위 → 글로벌 라이선스 거래 15배 증가
✔️ 빠른 임상시험·풍부한 자금으로 ADC 항암제 등 혁신 신약 개발 선도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시, 중국 바이오텍 성장 위협 요인


🧪 1. 중국 바이오의약품, 카피에서 혁신으로

  • 키트루다: 2014년 출시 후 $1300억 매출, 2023년 $295억
  • Akeso 신약: 질병 진행 없는 생존기간 11.1개월(키트루다 5.8개월)
  • 중국 신약 파이프라인: 2021~2024년 2배 증가(4,391개)

🔍 왜 빠른 성장?

  • ‘패스트 팔로워 전략’: 기존 신약 개선 → 개발 비용·시간 단축
  • ADC 항암제 강세: 항체·화학약물 결합 → 중국이 빠른 개발·조합 주도

⏱️ 2. ‘빠른 임상시험’이 중국 바이오 경쟁력 핵심

  • 임상 승인 기간: 501일 → 87일(2015년 규제 개혁 후)
  • 임상시험 환경:
    • 환자 모집 용이(대규모 인구)
    • 정부 인센티브로 병원·의사 연구 참여 활성화

📊 글로벌 관심 증가:

  • 머크: 중국 LaNova에 $5.88억 지불 → Akeso 유사 치료제 라이선스 확보
  • 글로벌 라이선스 거래: 2020년 대비 3배 증가, 총액 $480억

💰 3. 글로벌 자금 유입과 라이선스 전략

  • 라이선스 모델: 미국·유럽에 판권 판매 → 초기 지불금+마일스톤+로열티 확보
    • Akeso – Summit Therapeutics와 $50억+ 로열티 계약
  • NewCo 모델: 미국에 별도 법인 설립 → 중국 모회사 지분 유지

하지만:

  • 2024년 중국 바이오 투자 7년 만에 최저
  • ‘과거 자금 호황’ 덕에 현재 라이선스 거래 유지새 투자 필요

⚖️ 4. 미·중 무역 갈등이 변수

  • 현재: 중국 바이오, 무역 규제 제외(첨단 기술 중심)
  • 미래 리스크:
    • 트럼프 재집권 시 중국산 바이오 의약품도 규제 대상 될 수 있어
    • 지정학적 리스크로 중국 신약 라이선스 가격 하락

🏷️ 5. 결론 – 중국 바이오의 ‘빠른 혁신’, 글로벌 시장 주도할까?

  • 기회: 비용 효율·빠른 임상으로 혁신 신약 개발 가속
  • 위협: 자금난무역 갈등이 지속되면 성장 둔화 가능성

💬 “중국 바이오, 키트루다 뛰어넘었지만… 미·중 긴장 속 생존 전략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