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2월 18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러시아와 미국의 회담이 평화 협상이라기보다는 비즈니스 협상처럼 진행됐습니다. 러시아 대표단의 일원인 **키릴 드미트리예프(Kirill Dmitriev)**가 미국 기업들이 러시아를 떠나면서 3,240억 달러(약 429조 원)를 손해 봤다며 미국 기업들의 러시아 복귀를 제안했기 때문입니다.
🔍 키릴 드미트리예프는 누구인가?
키릴 드미트리예프는 러시아의 국부펀드인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의 수장으로, 푸틴 대통령의 주요 경제 협상가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 드미트리예프의 배경
-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한 서구 엘리트 교육 출신입니다.
- **맥킨지(McKinsey)**와 **골드만삭스(Goldman Sachs)**에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러시아에 돌아와 투자 전문가로 활약했습니다.
- 2011년, 드미트리예프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시 대통령을 설득해 RDIF 설립을 주도했습니다.
💍 드미트리예프의 영향력
- 드미트리예프의 아내 나탈리아 포포바는 푸틴 대통령의 딸과 친구이며, 러시아의 TV 진행자 및 모델로 활동했습니다.
- RDIF를 통해 중동과 아시아의 투자자들을 끌어모으는 데 성공했으며, 특히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100억 달러, 2017년 중국으로부터 10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 스푸트니크 V(Sputnik V) 백신을 통해 러시아의 백신 외교를 주도하기도 했습니다.
🇷🇺🤝🇺🇸 드미트리예프와 트럼프 진영의 연결고리
드미트리예프는 미국 비즈니스맨들과의 친화력을 바탕으로 트럼프 진영과의 협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미 국무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역사적인 경제 및 투자 기회”**를 언급하며 러시아와의 경제 협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트럼프의 외교정책 주요 인사 중 한 명은 드미트리예프를 **“중요한 협상 파트너”**라고 언급했습니다.
💰 트럼프의 경제적 접근
- 드미트리예프는 **“러시아 제재로 미국 기업들이 손해를 봤다”**는 논리를 내세우며, 제재 완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 트럼프는 우크라이나의 광물 자원 접근과 미국의 원조 축소를 전쟁 종식의 주요 이유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RDIF: 푸틴의 ‘슬러시 펀드’인가?
RDIF는 러시아 내에서 외국 투자를 유치하는 역할을 하는 국가 펀드입니다.
- 2014년 크림반도 합병 이후, RDIF는 서방의 제재 대상이 되었습니다.
- 미국 재무부는 RDIF를 **푸틴 대통령의 ‘슬러시 펀드(slush fund)’**로 간주했습니다.
-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RDIF와 드미트리예프 본인도 제재를 받았습니다.
💡 비서구 자금 조달의 성공
- 드미트리예프는 서구 자금 유치가 어려워지자 중동과 아시아 자본을 확보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 이를 통해 100건 이상의 투자 프로젝트에서 400억 달러 이상의 외국인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평화 회담인가, 사업 협상인가?
이번 사우디아라비아 회담은 평화보다는 비즈니스 협상에 가까웠습니다.
- 드미트리예프는 **“모스크바의 레스토랑 장면”**까지 언급하며 러시아의 경제 기회를 홍보했습니다.
- 크렘린의 전략: **“기업인 대 기업인”**의 방식으로 협상을 이끌어 정치적 문제를 경제적 접근으로 풀어나가려 하고 있습니다.
- 트럼프의 스타일: 트럼프 역시 비즈니스 중심의 협상을 선호하기 때문에 ‘거래의 예술’ 방식이 양측 모두에 맞아떨어지고 있습니다.
결론: 드미트리예프의 역할과 미래 전망
드미트리예프는 푸틴의 경제 외교관으로서 러시아-미국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제재 완화를 위한 경제 논리를 내세워 미국 비즈니스맨들과의 협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 비서구 자본 유치 성공 사례를 통해 푸틴의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 앞으로의 협상이 제재 완화로 이어질 경우, 러시아 경제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평화 회담이 비즈니스 협상처럼 진행된 이번 사태는 드미트리예프의 전략적 접근 방식을 잘 보여줍니다. 앞으로 그가 푸틴과 트럼프 사이에서 어떤 협상을 이끌어낼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없는 유럽 안보, 이제는 스스로 지켜야 한다 (0) | 2025.02.25 |
---|---|
트럼프와 머스크의 개혁, 컨설팅 업계의 위기와 팔란티어의 부상 (0) | 2025.02.25 |
독일 총선 결과 분석: 메르츠의 승리와 새로운 연정의 과제 (0) | 2025.02.24 |
텍사스에서 번지는 홍역, 그리고 백신 반대 운동의 확산 (0) | 2025.02.21 |
도널드 트럼프의 두 번째 임기, 미국은 어디로 향할까?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