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정책의 영향의 미래는?

트이사 2025. 2. 1. 13:56
반응형

 

트럼프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국경의 타이트함 즉 불법이민자를 막겠다는 정책입니다. 그래서 관련해서 북미지역에 불법 이민과 관련해서 관세로 압력을 넣고 있는 상황에서, 이 정책이 오히려 미국 자동차 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아래에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정책: 미국 자동차 산업의 위기?

트럼프의 첫 행보: 국경 통제 강화와 관세 위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미국 국경을 강화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 **"이민자와 마약의 침공을 막겠다"**며 강경한 국경 정책을 추진
  • 캐나다와 멕시코가 불법 이민과 마약 밀반입을 막지 않으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
  • 당초 취임 첫날(1월 20일) 발표 예정이었던 관세 정책은 2월 1일로 연기되었으나, 곧 시행될 가능성이 큼

이 관세 정책이 현실화되면 북미 자동차 산업 전반에 큰 타격을 줄 것입니다.


미국 자동차 산업과 북미 자유무역: 깊이 얽힌 공급망

  • 미국, 캐나다, 멕시코의 자동차 산업은 1965년 캐나다와의 자유무역협정(Auto Pact) 이후 긴밀히 연결되었으며,
  • 1994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2020년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로 확대 발전했습니다.
  • 2023년 미국 자동차 수입량(금액 기준)의 절반(3.6백만 대)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유입되었으며,
    • 멕시코에서 250만 대 수입,
    • 북미에서 수입된 차량이 미국 자동차 판매량의 22%를 차지

특히 부품 공급망도 복잡하게 얽혀 있어,

  • 캐나다·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자동차 관련 제품의 가치는 약 2,000억 달러
  • 이 중 절반 이상이 미국 내 조립 공장에서 사용되는 부품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미국 자동차 산업 전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누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까?

"디트로이트 빅 3"(GM, 포드, 스텔란티스)

  • 스텔란티스(Stellantis): 미국 판매 차량의 40%가 캐나다·멕시코산
  • GM(제너럴 모터스): 미국 판매 차량의 약 30%가 북미에서 수입
  • 포드(Ford): 상대적으로 안전(25%)하지만, 주로 소형 SUV인 **브롱코 스포츠(Bronco Sport), 매버릭(Maverick)**이 영향받음

테슬라(Tesla)

  • 대부분의 차량을 미국에서 생산하지만, 부품의 25%가 멕시코에서 조달

독일·일본 자동차 업체

  • 폭스바겐(VW): 미국 판매 차량의 40% 이상이 멕시코에서 생산
  • BMW, 벤츠, 도요타 등도 멕시코 공장 의존도가 높음

유럽 자동차 산업

  • 미국은 **유럽 자동차 수출의 20%(560억 유로)**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
  • **독일 3대 자동차 업체(BMW, 벤츠, 폭스바겐)**의 매출 중
    • 미국 비중: BMW·벤츠(10%), 폭스바겐(15%)
  • 20% 관세가 부과될 경우,
    • 폭스바겐은 33억 유로 손실 예상

소비자와 시장에 미칠 영향

자동차 가격 급등

  • 평균적으로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약 3,000달러 상승(Wolfe Research 분석)
  • 가격 인상으로 인해 자동차 판매량 감소 예상

전기차(EV) 산업 혼란

  • 트럼프는 전기차 보조금 폐지 및 배출가스 규제 완화를 시사
  • GM, 포드는 전기차 생산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지만, 정책 변화로 인해 방향 수정 필요

공급망 재편? 하지만 시간과 비용이 문제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장기화될 경우, 일부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할 가능성
  • 그러나 공장 이전 및 공급망 재구성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

트럼프의 진짜 목표는 무엇인가?

🔹 단기 압박을 통한 '거래'

  • 트럼프는 단기간 강한 압박을 가해 캐나다·멕시코로부터 양보를 받아내려는 전략일 가능성이 큼
  • 실제로 콜롬비아에 대한 관세 위협(1월 26일)은 단 몇 시간 만에 정책 변화를 유도

🔹 USMCA 재협상?

  • 2026년 재검토 예정인 USMCA를 미국에 유리한 조건으로 변경하려는 신호일 수도 있음
  • 제조업 부활과 보호무역 강화를 앞세운 정책 추진 가능성

🔹 "미국 자동차 산업 보호"라는 명분

  • 트럼프는 **"관세만이 미국 자동차 산업을 살리는 길"**이라고 주장
  •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자동차 업계와 소비자에게 '재앙'을 초래할 가능성이 더 큼

결론: 자동차 산업의 미래, 관세 충격을 피할 수 있을까?

📌 25% 관세가 현실화되면 미국 자동차 산업 전체가 큰 타격을 입을 것
📌 GM, 스텔란티스, 폭스바겐 등 주요 기업들은 이익 감소 및 가격 인상 압박
📌 소비자는 더 비싼 자동차를 사야 하며, 판매량 감소 가능성 높음
📌 공급망 재편이 가능하더라도, 단기간 내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

🚗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이 미국 자동차 산업을 살릴 것인가, 아니면 더 큰 혼란을 초래할 것인가?
이제 자동차 업계와 소비자 모두 트럼프의 다음 행보를 주시해야 할 순간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