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트럼프의 미국, 아시아 동맹국도 버릴까?

트이사 2025. 3. 19. 10:58
반응형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
기시다 후미오 당시 일본 총리는 **“오늘의 우크라이나가 내일의 동아시아가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의 발언은 중국이 대만을 무력으로 점령할 가능성을 의미했지만,
이제는 미국이 아시아 동맹국을 버릴 가능성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우크라이나 지원을 줄이면서 유럽 동맹국들과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시아 동맹국들은 안전할까요?
트럼프가 아시아에서도 "거래적 외교"를 펼칠 경우, 미국과의 동맹 관계는 어떻게 변할까요?


🇺🇸 트럼프의 아시아 정책 – 동맹국들은 안심해도 될까?

📌 미국이 아시아를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이유

  • 중국 견제가 핵심 전략 → 아시아 동맹국들과의 협력이 필수
  • 주한미군·주일미군 등 90,000명 이상의 미군 주둔 → 철수 쉽지 않음
  • 최근 대만·필리핀 군사 지원은 동결되지 않음 → 유럽과 차별적인 조치

📌 그럼에도 불안 요소는 여전히 존재

  • 트럼프는 주한미군·주일미군 철수 가능성을 시사한 적 있음
  • 한국과 일본의 무역장벽 비판 → 경제적인 압박 강화 가능성
  • "미국이 지켜줄 거란 전제를 버려야 한다" (도쿄대 교수 후지와라 키이치)

결론적으로, 미국이 아시아에서 철수할 가능성은 낮지만,
트럼프의 ‘거래적 외교(Transactional Diplomacy)’가 동맹국들에게 부담을 줄 가능성은 큽니다.


🇰🇷🇯🇵 한국과 일본, 트럼프에게 어떻게 대응할까?

1. 트럼프를 ‘관리’하는 전략 – 투자와 협력 확대

한국과 일본은 트럼프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는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에 대한 대규모 투자 약속 (반도체·자동차·에너지 분야)
알래스카 LNG(액화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지원 – 트럼프의 관심 사업
트럼프 개인에게 적극적인 외교 (예: 정상회담에서 ‘칭찬’ & ‘성과 강조’)

📌 효과는 있을까?

  • 트럼프는 개인적인 친분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효과 가능
  • 하지만, ‘돈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예: 방위비 분담, 미군 철수 압박)가 남아 있음

2. ‘플랜 B’ – 미국 의존도 줄이기 & 다른 국가들과 협력 강화

트럼프의 정책이 불확실한 만큼,
아시아 동맹국들은 **"미국 +1 전략"**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국방력 강화

  • 일본: 국방비 GDP 대비 2%까지 확대 (2027년 목표)
  • 호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해군력 증강
  • 한국: 이미 GDP 대비 2.5% 이상 국방비 지출 중

아시아 내 방위 협력 확대

  • 일본, 인도, 호주, 인도네시아 간 "아시아 쿼드(Asian Quad)" 구상
  • 한·일·호주·필리핀 간 군사 협력 강화 가능성

유럽과의 협력 확대

  • 프랑스, 영국 해군의 아시아 태평양 활동 증가
  • 한국 외교부 장관, 유럽 순방하며 유럽과의 군사 협력 논의

📌 문제점은?

  • 아시아에는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같은 다자간 군사 동맹이 없음
  • 미국 없는 아시아 동맹은 ‘허브 없는 스포크(hub and spokes without a hub)’
  • 중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끊을 수 없는 국가들이 있음 (예: 한국, 아세안 국가들)

☢️ 핵무장 논의, 현실로 이어질까?

트럼프의 정책 변화로 인해 한국과 일본 내에서 ‘핵무장’ 논의가 다시 부상하고 있습니다.

📌 한국의 반응

  • 과거 보수 진영에서만 나왔던 핵무장 논의가 진보 진영에서도 제기
  • "최소한 핵무기 개발 가능성은 열어놔야 한다" –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논의 증가
  • 미국이 핵우산을 거두면, 독자적인 억지력 필요성 커질 가능성

📌 일본의 반응

  • 일본은 핵무장 논의에 조심스러운 태도 유지
  • 하지만, 한국이 핵무장을 추진할 경우 일본도 움직일 가능성 존재
  • 이미 "잠재적 핵무장 국가" (핵연료 재처리 능력 보유)

📌 문제점

  •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이 현실화될 경우 미·중·러 모두 반대할 가능성 높음
  • 동북아시아 핵 군비 경쟁으로 이어질 가능성

🔮 결론 – 트럼프의 아시아 정책, 동맹국들에게 어떤 의미인가?

미국이 아시아를 완전히 포기할 가능성은 낮음
하지만, 트럼프의 "거래적 외교"로 인해 동맹국 부담 증가 가능성
한국·일본, 미국과의 관계 유지하면서도 ‘플랜 B’ 준비 중
핵무장 논의가 현실적으로 진행될 가능성 증가

📌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 트럼프가 주한미군·주일미군 철수를 언급할 가능성
  • 한국·일본의 국방비 증액 및 방위산업 협력 강화 여부
  • 핵무장 논의가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가능성

트럼프의 재집권이 확정될 경우,
아시아 동맹국들은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독자적인 안보 전략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것입니다.

반응형